AI로 콘텐츠 기획 및 SNS 포스팅 자동화하기 — 섹션별 실습 가이드 (초보자용)
서론 — 목표와 준비물 확인 (따라 하기 전 체크리스트)
이 가이드는 “아이디어 발굴 → 문안 생성 → 예약·자동배포”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실습서다.
먼저 아래 준비물을 확인해. 모두 무료 계정으로도 시작 가능하지만, 일부 기능(연동·API)은 유료가 필요할 수 있어.
필수 준비물(사전)
- ChatGPT 계정 (https://chat.openai.com) — 로그인 완료
- Notion 계정 (https://www.notion.so) — 워크스페이스 생성
- Buffer 계정 또는 Zapier 계정 (https://buffer.com / https://zapier.com) — SNS 연동용
- SNS 계정(인스타그램, 트위터, 페이스북 등) — 로그인 상태 유지
- (선택) Google Drive / Google Sheets — 콘텐츠 아카이브용
확인 후 다음 섹션부터 바로 실습하자.
![[AI 실전 메뉴얼 프로젝트 # ] AI로 콘텐츠 기획 및 SNS 포스팅 자동화하기 — 섹션별 실습 가이드 (초보자용)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cLsvFU/dJMcajHjOm5/AAAAAAAAAAAAAAAAAAAAAGrp03QdJCgK0Ivc7i6_XHiSf2-XlB8GAKC0oPluKAAa/img.jp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v6DmlhJR66sv1qv9Eb%2Bz5Ic6Gmk%3D)
섹션 1 — 콘텐츠 아이디어 자동 생성 (ChatGPT → Notion 저장까지)
목표: ChatGPT로 주간 콘텐츠 아이디어 5개를 만들고 Notion에 자동으로 저장한다.
A. ChatGPT에서 아이디어 만들기 (수동 방식, 초보자 추천)
- ChatGPT 접속 → 새 채팅창 열기
- 아래 프롬프트를 그대로 붙여넣고 Enter
- 출력된 표를 마우스로 드래그 → 복사(Ctrl+C)
B. Notion에 아이디어 넣기 (수동 저장)
- Notion에서 새 페이지 만들기 → 템플릿: Database → Table 사용
- 테이블 필드(컬럼) 생성: 제목(Title), 플랫폼(Multi-select), 키워드(Text), 상태(Select: 아이디어/작성중/예약/게시됨), 메모(Text)
- ChatGPT에서 복사한 표를 Notion의 새 행에 붙여넣기하면 각 열로 분리됨(혹은 수동 복사 후 항목 채우기)
C. 자동화(옵션) — ChatGPT 결과를 Notion으로 자동 저장 (Zapier 사용)
- Zapier 로그인 → Create Zap 클릭
- Trigger: Choose App → OpenAI (또는 Webhooks if using ChatGPT via API) → New Completion (or webhook)
- Action: Choose App → Notion → Create Database Item
- 매핑: ChatGPT 출력의 ‘제목’ → Notion Title, ‘키워드’ → Notion 키워드 등
- 테스트 실행 → 정상 작동 시 Turn on Zap
실전팁: 먼저 수동으로 1~2회 실행해보고 Zap을 켜자. 자동화는 오류가 나면 반복해서 잘못 저장될 수 있으니 확인 절차를 권장.
섹션 2 — 플랫폼별 문안(포맷) 자동 생성: 실전 프롬프트와 예시
목표: 하나의 아이디어로 블로그·인스타·트위터용 문안을 자동 생성한다.
A. 기본 프롬프트 구조(복사해서 바로 사용)
B. 예시: “AI로 시간 절약하는 5가지 방법” (인스타 전용 프롬프트)
ChatGPT에 아래를 붙여넣기:
C. 결과를 Notion에 저장하고 태그/예약 상태 설정
- Notion 콘텐츠 카드에 JSON의 body를 붙여넣고 플랫폼, 예약일 등을 추가
- 상태를 ‘작성완료’로 변경
섹션 3 — 이미지·썸네일 준비와 캡션(인스타용)
목표: 글에 맞는 썸네일 캡션과 alt 설명을 AI로 생성하고 파일명 규칙까지 정리
A. 이미지 안내 프롬프트(ChatGPT)
B. 파일명 규칙(SEO/관리용)
- 제안: yyyymmdd_topic_platform_v1.jpg 예: 20251108_ai-time-saving_ig_v1.jpg
- Notion의 이미지 URL 칸에 업로드 경로 또는 클라우드 링크 추가
섹션 4 — 예약·자동 업로드 워크플로우 (Notion → Buffer → SNS)
목표: Notion에 ‘예약’ 상태로 변경하면 자동으로 Buffer에 포스트 등록되게 설정.
A. Buffer 계정 연결(초기 설정)
- Buffer 접속 → 계정 생성 → SNS 계정(인스타그램/트위터 등) 연결
- 예약 시간대(Posting Schedule) 설정: 예: 평일 오전 10시, 오후 6시
B. Zapier 플로우 만들기 (핵심 — 따라 하기 순서)
- Zapier → Create Zap
- Trigger: Notion → New Database Item (or Updated Database Item with filter Status=예약)
- Zapier에 Notion 연동 허용, Database 선택
- Action1: Formatter (optional) → Modify Text (본문에서 해시태그 추출/이미지 URL 정리)
- Action2: Buffer → Create Update
- Buffer 연결 후, 매핑: Content → Notion.body, Image → Notion.image_url, Schedule → Notion.post_date
- 테스트 실행 → Buffer에서 임시 예약 확인 → Zap 켜기
C. 실제 예약 테스트
- Notion의 콘텐츠 카드 상태를 ‘예약’으로 변경 → Zap이 트리거되어 Buffer에 예약글이 생성되는지 확인
- Buffer에서 미리보기·플랫폼별 포맷 확인
섹션 5 — 댓글·반응 자동 수집 및 간단 리포트 만들기
목표: 게시 후 반응(댓글·좋아요)을 자동으로 수집해 ChatGPT가 요약 리포트를 만들게 한다.
A. 수집 방법(간단)
- Buffer나 소셜 플랫폼의 API(또는 Zapier)를 사용해 ‘New Mention’ 또는 ‘New Comment’ 트리거 설정
- Zapier Trigger: Buffer → New Engagement (지원 시) 또는 Twitter → New Mention
B. 자동 리포트 생성(프롬프트)
Zapier Action: OpenAI → Create Completion 에 아래 프롬프트 입력
C. 결과 저장: Notion 또는 Google Sheet에 요약 리포트 자동 저장
![[AI 실전 메뉴얼 프로젝트 # ] AI로 콘텐츠 기획 및 SNS 포스팅 자동화하기 — 섹션별 실습 가이드 (초보자용)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cpqhcn/dJMcaeze8DI/AAAAAAAAAAAAAAAAAAAAAKEUij1GQJj43pq_p0hs20Ulf20e9vrrUsPMEirOgtBz/img.jp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UgB3ke1kXbYWPzKSrRUS%2BumZRPI%3D)
섹션 6 — 주간 스케줄과 성과 대시보드 만들기
목표: 일주일치 포스팅 현황과 주요 지표(노출·클릭·반응률)를 시각화
A. Notion Database를 이용한 대시보드
- 컬럼 추가: 게시일, 플랫폼, 상태, 노출수, 클릭수, 반응률, 메모
- 매주 일요일 Zapier로 트리거: “Gather metrics” → 각 플랫폼 API에서 지표 수집 → Google Sheet/Notion에 업데이트
B. ChatGPT로 주간 리뷰 자동 작성 (프롬프트 예시)
섹션 7 — 초간단 템플릿 모음(복사해서 바로 쓰자)
아래 템플릿은 그대로 복사해서 ChatGPT에 붙여넣고 사용하면 된다.
A. 아이디어 생성 템플릿
B. 인스타 문안 템플릿
C. 예약 알림 템플릿 (Gmail로 발송용)
결론 — 첫 주 운영 로드맵 (따라하기 쉬운 7일 계획)
- Day 1: ChatGPT로 주간 아이디어 7개 생성 → Notion에 저장
- Day 2: 상위 3개 아이디어 본문 생성(멀티플랫폼)
- Day 3: 이미지·썸네일 제작 혹은 프리셋 적용
- Day 4: Notion에 콘텐츠 카드 완성 → 상태 ‘예약’로 변경(테스트 Zap)
- Day 5: Buffer 예약 확인 및 미리보기 수정
- Day 6: 첫 게시물 발행 → 댓글 자동 리포트 설정
- Day 7: 주간 지표 수집 → ChatGPT로 주간 리뷰 작성
이 루틴을 한 번 세팅하면 매주 1시간 내외로 콘텐츠 파이프라인을 운영할 수 있다.
콘텐츠 제작은 단순히 글을 쓰는 일이 아니라,
정보를 구조화하고 반복 가능한 시스템으로 만드는 일이다.
AI를 이용하면
기획 → 작성 → 관리 → 발행
모든 단계를 하나의 자동화된 워크플로우로 통합할 수 있다.
이제는 콘텐츠를 매번 새로 고민하지 말고, AI를 당신의 콘텐츠 매니저로 활용하라.